유현미: 그림 없는 퍼즐 The Blank Puzzle

2023.10.23 ▶ 2024.01.07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72 (법흥리)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Press Release

    내일을 공상하는 퍼즐

    유현미는 매체와 장르를 거침없이 넘나드는 유연한 성정의 작가이다. 사진, 회화, 조각, 설치, 영상을 교차하는 작품들과 그것이 시, 소설과 같은 문학으로 연결되는 지점까지. 특히 각각의 매체가 지닌 장점을 최대한 살려 혼합하는 방식으로 끊임없이 실험해 온 작업 과정은 현대인의 시선을 사로잡는 감각적인 이미지를 구현하게 해주었다. 작가는 세상에 대한 애정과 인간 본질에 대한 호기심을 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주변을 관찰하며 새로운 관심사를 발견해 나간다. 최근에는 작가로서의 삶과 동시대 사회상에서 영감을 얻어 소설을 창작한 뒤 다시 그를 소재로 파생된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그중 1998년부터 지속하는 <퍼즐> 시리즈는 특유의 서정성으로 작가의 순수한 자아를 엿볼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아무 그림이 그려지지 않은 새하얀 퍼즐이 존재한다는 모순된 상상력에서 출발한 이 시리즈는 약 26년간 작가와 함께 성장해 왔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유현미의 퍼즐은 조각과 설치 작업으로 시작되었지만 이야기가 켜켜이 쌓이는 과정을 거쳐 문학으로 완성되었고, 거기서부터 다시 입체와 평면 그리고 영상 등으로 나아가는 흐름을 가진다. 무엇보다 오랜 시간 이어져 온 만큼 작가의 삶의 궤적에 따른 내면의 변화를 솔직하게 담아낸 가장 근본적인 작품이라고도 할 수 있다.

    초기 퍼즐 작품은 작가가 처음 상상했던 것처럼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흰색 퍼즐들로 제작되었다. 퍼즐 조각들을 조립하여 바닥 또는 계단과 같은 구조물을 만들었는데, 여기서 본디 2차원이어야 할 평면의 퍼즐들이 3차원의 입체 형태를 취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이는 초현실적인 상상력을 바탕으로 표백된 퍼즐의 앞뒷면에 의식과 무의식의 구조를 표상함과 동시에 존재의 본질에 대한 고민을 담아낸 것이다.

    이후의 퍼즐들은 국내외 곳곳을 돌아다니며 보다 자유로운 형상을 취했다. 둥글게 말려 우물이 되기도 하고, 거울이 되어 흐르는 강의 형상을 취하기도 하고, 단단한 청동 조각이 되어 도심 한복판에 홀로서기도 하고, 유리 퍼즐이 되어 건물이나 지하철의 창문으로 자리하기도 하면서 말이다. 이 시기에는 종이와 나무를 넘어 아크릴, 거울, 유리, 스테인리스와 같이 대상을 투영할 수 있는 것들로 재료를 확장해 가며 나 자신 그리고 주변과의 관계에 주안점을 두는 모습을 보인다.

    활발하게 이어졌던 <퍼즐> 시리즈는 잠시 종적을 감추었다가 2019년쯤에 그 결을 달리하며 다시 새롭게 등장한다. 작가는 이때부터 요철을 가진 보편적인 퍼즐의 형태에서 벗어나 규칙성 없이 삐죽삐죽하거나 둥글둥글한 형태의 퍼즐을 만들었다. 퍼즐들은 파랑, 노랑, 보라와 같이 이전에는 쉽게 보기 어려웠던 높은 채도의 색상을 위주로 하였다. 크고 작은 사이즈로 공간을 배경 삼아 무한히 확장해 나가는 퍼즐들은 더 이상 다른 퍼즐에게 의존하여 한 몸으로 꽁꽁 묶인 존재가 아니었다. 각기 개성을 가지면서도 주변과의 관계 속에서 조화와 자유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 마치 자아를 가진 생명체처럼 느껴진다.

    변화의 과정은 지금까지의 <퍼즐> 시리즈를 문학으로 번안하여 출간한 소설 『그림 없는 퍼즐』¹ 에도 잘 나타난다. 퍼즐 세계에서 유일하게 그림이 없는 흰색 퍼즐 ‘블랭크’가 품은 고뇌를 현실감 있게 담아낸 이 소설에서 작가는 주인공의 자아 성장 과정을 <퍼즐> 시리즈의 진행 방향과 유사하게 묘사하였다. 작품 발표를 중단했던 시점에도 멈추지 않고 이야기를 생성하며 다른 소통 방식을 고민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해주는 지점이다. 또한 의인화된 퍼즐이 삶의 가치를 찾아나가는 동화 같은 설정과 섬세하고 간결한 문체는 퍼즐 이야기가 대중에게 친숙하고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기를 바라는 작가의 의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소설 속의 퍼즐, 블랭크는 그림이 없는 자신의 신체를 주변과 비교하며 끊임없이 고뇌한다. 파란 퍼즐, 노란 퍼즐, 빨간 퍼즐과 같이 그림이 있는 친구들과 교류하며 행복을 느끼기도 하지만 ‘큰 그림’ 일부가 되는 것이 목표인 그들과 자신의 삶을 비교하면서 부족함을 느끼고 점점 움츠러들어만 간다. 그러던 중 돌연 ‘키이스’라는 새 주인과 자신이 별이라고 주장하는 썩은 판자 조각 ‘블랙스타’를 만나게 된 블랭크는 그들에게서 스스로를 사랑하는 방법을 배운다. 그렇게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된 주인공이 꿈을 그리면서 이야기는 막을 내린다. 블랭크의 이야기는 결핍을 딛고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위로와 공감을 건넨다.

    이번 전시에서는 블랭크의 이야기에서 펼쳐진 또 다른 <퍼즐> 시리즈들을 공개한다. 블랭크의 부러움을 샀던 ‘파란 퍼즐’이 몬스터 조각으로 등장하는가 하면(<파란 괴물>, 2023) 블랭크와 서로를 돋보이게 해준 완벽한 콤비 ‘블랙스타’처럼 쌍쌍이 짝을 지은 새로운 형태의 퍼즐들이 조화를 이루기도 한다.(<완벽한 듀엣> No. 1-3, 2023). 여기에 블랭크가 성장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 키이스의 작업실도 현실로 나온다(<키이스의 방 No. 1-3>, 2023). 이처럼 계속해서 살을 붙여 나가는 <퍼즐> 시리즈는 작가의 내면이 더 자유롭게 자라나고 단단하게 성장하는 모습을 기대하게 만든다.

    꿈을 꾸기 시작한 유현미의 퍼즐은 그림 없이도 누구보다 다채로운 모습을 가진 근사한 퍼즐이 되었다. 작은 퍼즐은 이제 내일을 공상하며 달라진 매일을 맞이한다. 이 여정에 함께하고 싶다면 퍼즐을 건네받아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자. 나만이 상상할 수 있는 미래를 꿈꾸는 일이 얼마나 신나고 가치 있는지를 경험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즐거이 상상하고 염원하던 순간이 오늘의 현실로 찾아올지 또 누가 알겠는가?
    ​​
    글 | 김진영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큐레이터)​

    1 『그림 없는 퍼즐』의 국문판은 2022년 소마미술관의 전시 ≪드로잉 나우≫와 함께 출간되었고, 영문판은 2023년 아트센터 화이트블럭의 전시 ≪그림 없는 퍼즐≫과 함께 출간되었다.


    Puzzles That Daydream About Tomorrow

    Hyun-Mi Yoo is an artist with a flexible temperament on media and genres. Her works intersect photography, painting, sculpture, installation and video, and even connect to literature such as poetry and novels. Her constant experimentation with mixing and matching the best of each medium has allowed her to create sensual images that capture the attention of modern people. With a love for the world and a curiosity about human nature, Yoo continues to discover new interests by observing the world around us. Recently, she has produced works derived from her novels she had written with inspiration from her life as an artist and contemporary society.

    Among them, the Series of Puzzle from 1998 is an important work that offers a glimpse into her pure self with its unique lyricism. Originating from the contradictory imagination of the existence of a pure white puzzle with no pictures on it, the series is special in that it has grown with her for the last 26 years or so. Yoo’s puzzles began as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but through the process of accumulating narratives, they were completed as literature, and they moved on to three-dimensional, flat, and video works. Above all, her puzzles have served as the most fundamental work that honestly captures her inner changes over the course of her life.

    Her early puzzle works were made of white puzzles with nothing drawn on them, as she first envisioned. The puzzle pieces were assembled to create structures such as floors or staircases, where flat puzzles that should be two-dimensional in nature take on a three-dimensional form. They reflect her deep thoughts over the nature of existence, while representing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n the front and back of the bleached puzzles based on her surrealistic imagination.

    Her puzzles later traveled around the country and abroad, taking on more freeform shapes. They became wells, mirrors, flowing rivers, solid bronze sculptures that stood alone in the middle of the city, and glass puzzles that became windows in buildings and subways. In this period, she expanded her materials beyond paper and wood to include acrylic, mirror, glass, and stainless steel, with a focus on her relationship with herself and surroundings.

    The Puzzle series after a brief hiatus reemerged in 2019 with a different twist. From this point on, she moved away from the universal shape of puzzles with unevenness and created puzzles that are jagged or rounded without any regularity. The puzzles are dominated by highly saturated colors such as blue, yellow, and purple, which were previously difficult to see. Expanding infinitely against the backdrop of space in both large and small sizes, the puzzles were no longer dependent on other puzzles to hold them together. They were like living beings with their own personalities, seeking harmony and freedom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surroundings.

    The process of change is also reflected in her novel The Blank Puzzle ¹, which is a literary adaptation of the series so far. In this novel, which realistically captures the anguish of “Blank,” the only white puzzle without a picture in the puzzle world, she describes the protagonist’s journey of self-growth like the progression of the Puzzle series. This is a point where we can see that even when she stopped publishing her works, she continued to create stories and think about other ways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fairytale-like setting where an anthropomorphic puzzle searches for the value of life and the delicate and concise writing style reveal her intention that puzzle stories can be familiar and interesting to the public.

    In the novel, Blank the puzzle is constantly tormented by the comparison of its body with those around it. Although it is happy to interact with friends who have pictures, such as Blue Puzzle, Yellow Puzzle, and Red Puzzle, it feels inadequate and withdrawn as it compares his life to theirs, where its goal is to be a part of a “big picture.” When it meets a new owner named Keith and a rotten piece of wood called Black Star, who claims to be a star, it learns from them how to love itself. The story ends with how it can see itself, dreaming. Blank’s story offers empathy and comfort to those of us who get by with deprivation every day.

    This exhibition presents another series of Puzzle from Blank’s story. Blank’s envied Blue Puzzle appears as a monster piece (Blue Monster, 2023), while new pairs of puzzles such as “Black Star,” the perfect pair that made Blank and Black Star stand out from the crowd, make a harmony(A Perfect Duet No. 1-3, 2023). In addition, Keith’ studio where Blank grew up comes into reality(Keith’s Room No.1-3, 2023). As the series continues with add-on, it makes the audience look forward to seeing her inner life grow freer and stronger.

    Yoo’s puzzles, which started to have a dream, have become stunning ones with more colors than anyone else’s even without pictures. The little puzzle now faces each day differently, daydreaming about tomorrow. If you want to join her on this journey, pick up a puzzle and listen to your inner voice. You will see how exciting and rewarding it is to dream of a future that only you can imagine. Who knows, the moment you have been imagining and wishing for will become a reality today.

    Jinyeong Kim (Curator, Art Center White Block)

    1 The Korean edition of The Blank Puzzle was published in conjunction with the Soma Museum of Art’s exhibition Drawing Now in 2022, and the English edition was published in tandem with Art Center White Block’s exhibition The Blank Puzzle in 2023.

    전시제목유현미: 그림 없는 퍼즐 The Blank Puzzle

    전시기간2023.10.23(월) - 2024.01.07(일)

    참여작가 유현미

    관람시간11:00am - 06:00pm
    주말, 공휴일: 11:00am - 06:30pm

    휴관일없음

    장르회화

    관람료3,000원 (카페 이용 시 관람 무료)

    장소아트센터 화이트블럭 Art Center White Block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72 (법흥리) )

    주최아트센터 화이트블럭

    주관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후원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창작산실

    연락처031-992-4400

  • Artists in This Show

아트센터 화이트블럭(Art Center White Block)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아아! 동양화:모두의 동양화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24.07.19 ~ 2024.10.06

  • 작품 썸네일

    범진용 : 걷는 식물 The Walking Plant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24.04.12 ~ 2024.07.14

  • 작품 썸네일

    하늘과 바람과 별과 그림: 천안창작촌 9기 입주작가 결과보고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24.01.19 ~ 2024.04.07

  • 작품 썸네일

    유현미: 그림 없는 퍼즐 The Blank Puzzle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23.10.23 ~ 2024.01.07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폴린 부드리/레나테 로렌츠: 초상

    리움미술관

    2024.07.18 ~ 2024.11.24

  • 작품 썸네일

    예술, 보이지 않는 것들의 관문

    서울대학교미술관

    2024.09.12 ~ 2024.11.24

  • 작품 썸네일

    Mindscapes

    가나아트센터

    2024.10.16 ~ 2024.11.24

  • 작품 썸네일

    부산 청년예술가 3인전 《응시: 세 방향의 시선》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2024.10.26 ~ 2024.11.24

  • 작품 썸네일

    송준: Blue Eclipse Episode 3

    전북도립미술관 서울관

    2024.11.14 ~ 2024.11.24

  • 작품 썸네일

    Wherever : 순간이 새겨진 곳

    이응노의 집

    2024.10.29 ~ 2024.11.24

  • 작품 썸네일

    꽃 보다: 이철주의 작품세계

    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24.09.26 ~ 2024.11.24

  • 작품 썸네일

    송영규: I am nowhere

    갤러리 그림손

    2024.10.30 ~ 2024.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