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진
발아래 달을 두고-한여름 밤 캔버스에 한지 콜라주, 먹, 아크릴과슈, 227 x 185cm, 2023-2024
김명진
발아래 달을 두고 캔버스에 한지 콜라주, 먹, 아크릴과슈, 100 x 72cm, 2024
김명진
태양을 입고1108-기도 장지에 아크릴과슈, 한지 콜라주, 98 x 75cm, 2024
김명진
정오의 언덕 캔버스에 한지, 먹, 아크릴과슈, 한지 콜라주, 30 x 30cm, 2020, 2024
김명진
태양을 입고0903 장지에 아크릴과슈, 한지 콜라주, 26.8 x 30cm, 2024
작가노트
< 태양을 입고 발아래 달을 두고>
태양과 달은 한 사람, 모든 사람과 모든 것의 아래로 향하고 반환점을 돌고 돈다.
그 중심에는 소년과 소녀가 있다.
그림의 행간은 자신의 내적 사유가 실재계에서 경험과 환시, 허구가 손깎지를 끼는 것처럼 일어난다.
묵시록- 태양을 입고 발아래 달을 두고-의 한 구절이 그들의 생애와 밀착하면서 두 시리즈 작업을 묶어준다.
전능한 세계와 신비에 관한 언설이 현실의 감각으로 미끄러져 반죽이 되고 살갗처럼 서로 달라붙는다.
#태양을 입고
태양은 미지의 세계를 담는 거울처럼 기억을 비추고, 사라진 것을 일으켜 세운다. 태양을 입는다는 것은 가능한 일인가? 초인의 환상인가.
<태양을 입고> 시리즈는 짧은 호흡의 그림이고, 하루의 시작을 알리는 경당의 종소리. 움켜쥔 한 줌의 빛 같다.
움직이는 태양의 시간, 아침 공복을 채우는 시간이고, 의식과 무의식의 여과기에서 남은 알갱이처럼 빛난다. 내 작은 것들의 신에게 경배를....
#발아래 달을 두고
인형에게는 이름이 없다. 인형의 얼굴을 걷어내면 다른 얼굴이 있을 것이다.
종이 인형을 호명한다면 나와 너와 모든 사람의 생애가 아닐까.
한지 얼룩망의 아래에는 얼룩의 겹이 뒤섞이고 반죽의 덩어리로 일어선다.
여백의 그림자가 검은 막(어둠)을 세우고 헨리 퍼셀의 바로크 환상곡이 통주저음을 타고 미세한 음성이 터져 나오는 형국이다.
소규모 아리아의 한 장면에서 이야기를 지워가는 것이다.
2024.12월
평론
<살갗 아래의 고동> 中 발췌_ 미술평론가 이선영
김명진의 조형적 언어와 앞뒷면 관계로 나타나는 주체와 타자의 얼굴들은 무의식적이며 초개인적이다. 승화의 요구는 승화될 상황을 불러들이는 경향이 있다. 숭고는 비천과 상/하의 관계가 아니라 뫼비우스 띠같은 관계에 있다. 김명진의 작업은 상반되어 보이는 서로를 불러들이는 끝없는 유동의 장이다. 만약 그것이 승화라면, 바닥을 치는 승화이다. 하지만 심연에 잠긴 작품에서 바닥 또한 불확실하다. 이 끝없는 탐구에서 나는 여전히 미지의 존재다. 회화 또한 미지의 대륙이다. 주체든 대상이든 ‘불가능한’ 실재계와 연동된다. 그의 작품은 주어진 한계 내에서 완벽한 아름다움보다는 경계가 무너지는 숭고에 기운다. 김명진은 직면한 혼돈을 관념적으로 초월하지 않는다. ‘살갗 아래’의 관점은 비상이 아니라 계속되는 하강이자 반등이다.
전시제목김명진: 태양을 입고 발아래 달을 두고
전시기간2025.01.15(수) - 2025.02.23(일)
참여작가 김명진
관람시간10:30am - 06:00pm
휴관일설연휴 휴관
장르회화
관람료무료
장소갤러리 밈 gallery meme (서울 종로구 인사동5길 3 (인사동) )
연락처02-733-8877
1971년 경남 통영출생
일어나 2024년이야!
백남준아트센터
2024.03.21 ~ 2025.02.23
김인순 컬렉션 《일어서는 삶》
서울시립미술관
2024.08.29 ~ 2025.02.23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기획전 《이름의 기술》
국립현대미술관
2024.10.11 ~ 2025.02.23
전∙함: 깨달음을 담다
리움미술관
2024.09.05 ~ 2025.02.23
편차의 편자: 2024 경기 시각예술 성과발표전 생생화화:生生化化
김홍도미술관
2024.12.05 ~ 2025.02.23
개관13주년기념 <왜곡된 진실, 가볍거나 무겁거나>
양평군립미술관
2024.12.06 ~ 2025.02.23
최민영: 꿈을 빌려드립니다
스페이스K
2024.12.12 ~ 2025.02.23
김명진: 태양을 입고 발아래 달을 두고
갤러리 밈
2025.01.15 ~ 2025.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