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버스, 오르트 구름, ㄷ떨:안녕인사

2025.04.10 ▶ 2025.05.18

아르코미술관

서울 종로구 동숭길 3 (동숭동, 아르코 미술관) 아르코미술관 제1, 2전시실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전시 포스터

  • 작품 썸네일

    강석호

    무제 2015, 캔버스에 유채, 91×91cm

  • 작품 썸네일

    권오상

    1800장으로 구성된 오류를 위한 오차 2001, c-프린트,혼합매체, 190×140×320cm, 영은미술관 소장.

  • 작품 썸네일

    김솔이

    둠 · 아나테마 · 이누이 (Doom · anathema · ennuyée) 2025, 혼합매체, 가변설치

  • 작품 썸네일

    노은주

    작업실 연작 – 은주 2025, 나무 패널에 아크릴릭, 99.7×74.7cm

  • 작품 썸네일

    문이삭

    리컨스트럭트 2014-2025, 혼합 재료, 가변크기. 설치 구성: 무제(책, 2012.4.28.), 불로초, 달빛 곡예단, Bust-바람길#8, 석가산#2

  • 작품 썸네일

    박광수

    트로이메라이(Träumerei) 2025, 캔버스에 유채, 인쇄물 부착, 65.1×53cm 외

  • 작품 썸네일

    야광

    크세노스 2025, HD, 컬러, 사운드, 7분 15초

  • 작품 썸네일

    김규림

    600분 2025, 16mm 필름 프로젝션, LED 패널, OLED TV 디스플레이, 가변크기, 600분

  • 작품 썸네일

    이민지

    낙진하는 밤 2025, 스크린 프린트, 100×210cm

  • 작품 썸네일

    한우리

    낱낱의 사람 2017, 유리, 16mm 필름, 컬러, 무음, 3분 10초

  • 작품 썸네일

    홍진훤

    언다큐먼티드 모나리자 2009/2025, 싱글 채널 비디오, 컬러 및 흑백, 스테레오 사운드, 22분 40초; 시트지에 아카이벌 피그먼트 프린트, 60×80cm. 용산 남일당 앞

  • 작품 썸네일

    황효덕

    머리가 헝클어져서 2025, 알루미늄, 구리, 수조, 금, 은, 유황, 탄소, 실리콘, 증류수, 전기장치, 전자잉크패널, 모터 및 혼합 재료, 가변크기

  • 작품 썸네일

    고재욱

    아트레이버 2018, 다큐멘터리 영상, 9분 59초

  • 작품 썸네일

    권세정

    가슴에서 배 2019, 폴리에틸렌, 종이, 바이닐, 31.8×31.5×0.8cm. 밴드 WCS의 앨범

  • 작품 썸네일

    김용관

    닮은꼴 2013, 자르고 재조립한 책, 15.5×15.5cm

  • 작품 썸네일

    마실

    원서동 탐방 1: 럭키 부동산 2025, 인터뷰 영상, 10분 5초

  • 작품 썸네일

    신제현

    인사싸운드2011 2011(2025년 재제작), 나무, PVC 보드, 건축모형 재료 등, 120×270×270mm(3)

  • 작품 썸네일

    신지선

    원서동 놀이터 2009, 종이에 아크릴릭, 연필, 45×135.5cm

  • 작품 썸네일

    조영주

    글이라는 허구와 영주라는 따뜻한 사캐즘(sarcasm) 2025, 발리산 종이 위에 연필 드로잉, 297×210mm.(좌)〈개소또는은지〉, 2025, 모눈종이 위에 연필 드로잉, 297×210mm.(우)

  • 작품 썸네일

    최소연

    오가자 신나는 할망, 〈멀구슬낭, 신이 와신가 내가 모른다〉 2024, 나무 패널에 아크릴릭, 72.5×52.8cm

  • Press Release

    «미니버스, 오르트 구름, ㄷ떨:안녕인사»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예술위)의 신진 예술인 지원 공간인 인사미술공간(이하 인미공)이 2000년 개관이후 약 25년 동안 남긴 문화적 자산을 협력 기획자 3인과 참여예술인 28인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전시이다. 인미공은 예술위 산하 공간이지만 비제도적 · 대안적 성격을 지닌 ‘제도권 내의 제도 밖’이라는 특수성을 지니고 약 350건이 넘는 전시와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그리고 예술위 지원사업과 연계한 전시 및 교육, 예술 비평지 발간, 영상 미디어 배급 및 레지던시 운영 등을 수행해 왔다.

    이번 전시는 인미공의 다양한 사업 중에서 특히 신진 작가 창작 지원, 영상 미디어 활성화, 시각 예술 비평지 발간이라는 세 가지 사업에 주목한다. 그리고 예술위 신진 기획자 양성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기획자 3인이 각자의 연구와 활동을 바탕으로 이 세 가지 사업을 간접적으로 매개하는 전시를 구현한다. 각 전시는 ‘사라짐을 일종의 조건으로 인미공에 부여된 정체성과 역사 기술의 방식을 재고’하거나(«미니버스», 권혁규 기획), ‘오늘날 기술 환경 및 이미지의 생태계 속에서 미디어 아카이브의 불가능성을 의식하며 인접한 기술적 지지체를 경유해 무빙 이미지의 장소를 고찰’하고(«오르트 구름», 김신재 기획), ‘인미공의 마지막 순간을 예술과 공간, 사람 사이의 떨림과 미시사로 새롭게 엮어’내는 출간물을 선보인다(«ㄷ떨:안녕인사», 김도희 기획).

    포스터에는 각 전시의 단서가 되는 키워드가 시각적으로 담겨있다. 전시 《미니버스》는 ‘소문자, 이동, 경유지, 경로..’등의 키워드를, 《오르트 구름》은 ‘흩어진 혜성, 신호, 얼음조각, 씨앗의 운반..’과 같은 단서를 지니고 있으며, 《ㄷ떨:안녕인사》는 ‘다양한 목소리, 손 끝에 닿은 책장이 부드럽고 미세하게 떨리며 움직이는 느낌’을 상상하면서 전시와 만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키워드들은 인미공이 지녀온 이미지, 즉 소문자의 철학이나 작은 목소리 존중, 거대 담론의 다른 급부로서 인미공의 행보를 은유한다. 나아가 씨앗이 지닌 잉태의 이미지가 인미공의 지속 확장 가능성을, 떨림음의 이미지가 파열과 교류라는 전시의 방법론적 접근과 연동되는 지점도 엿볼 수 있다.

    인미공은 젊은 예술인의 다양한 활동이 벌어지는 공간으로 오랫동안 그 독자성을 유지해왔다. 올해 6월 원서동 시절을 마무리하고 운영을 종료하지만, 이번 전시처럼 향후 여러 전시 및 프로젝트에서 그 유산은 지속해서 소환되고 새로운 맥락을 얻을 것이다. 그리고 시대의 요구와 흐름에 맞춰 당대 신진 예술인들의 창작 활로이자 사랑방이고 살롱이었던 무언가는 계속해서 생겨나고 사라질 것이다. 이번 전시가 인미공에 대한 기억에서 출발하여 동시대 예술계에 남긴 흔적들을 현재, 그리고 미래로 연결하는 다양한 시도들 중 하나가 되기를 기대한다.

    ▣ 기획자 소개
    권혁규(《미니버스》기획)
    는 주로 전시를 만들고 글을 쓴다. 불확실한 대상을 물리적 현존으로 전환하는 큐레이팅 방법론에 관심을 두고 있다. 기획자 운영 플랫폼 WESS의 공동 운영자(2019-2023)로 활동했으며, 연간 출판 프로젝트 『뉴스페이퍼』의 기획 및 편집을 맡고 있다. 뮤지엄헤드의 책임큐레이터(2020-현재)로 «인저리타임»(2021), «모뉴멘탈»(2023), «흑백논리»(2024)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축소할 수 없는 기원이 함께하는, 돌연변이의 모략 같은 미술을 귀하게 여긴다.

    김신재(《오르트 구름》기획)는 주로 시간 기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제작에 동행한다. 얽힌 감각과 물질 사이를 번역하는 예술 실천에 관심을 갖고 있다. 2021년 국립현대미술관 «재난과 치유»전 위성 프로젝트 ‹반향하는 동사들› 2023년 제23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시네미디어 포럼 주제전 «장소의 감각, 물질의 그물» 등을 기획했고, 웹진 『비유』의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김도희(《ㄷ떨:안녕인사》기획)는 몸을 매개로 겪는 물질 경험과 작용을 밀도 높은 행위와 감각을 통과하여 들여다보는 작가이다. 최근의 개인전으로 2024년 성북구립미술관 기획전 «빛선소리»와 2021년 수림미술상 수상작가전 «배꼽불»이 있고, 주요 단체전으로는 2024년 부산현대미술관 «이것은 부산이 아니다: 전술적 실천», 2022년 부산비엔날레 «물결 위 우리», 2020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Artistic Playground» 등이 있다. 원고지의 시대인 1970년대 잡지에서 영감을 받은 경험주의 미술잡지 『ㄷ떨』을 2023년 창간한 후, 기획과 편집을 맡고 있다.

    전시제목미니버스, 오르트 구름, ㄷ떨:안녕인사

    전시기간2025.04.10(목) - 2025.05.18(일)

    참여작가 강석호, 권오상, 김솔이, 노은주, 문이삭, 박광수, 야광 , 김규림, 이민지, 한우리, 홍진훤, 황효덕 , 고재욱, 권세정, 김용관, 마실, 박혜연, 신제현, 신지선, 이생강, 임성연, 정희영, 조상인, 조습, 조영주, 조은지, 최소연

    관람시간11:00am - 07:00pm

    휴관일매주 월요일 휴관

    장르영상, 설치, 사진, 회화 등

    관람료무료

    장소아르코미술관 Arko Art Center (서울 종로구 동숭길 3 (동숭동, 아르코 미술관) 아르코미술관 제1, 2전시실)

    연락처02-760-4635

  • Artists in This Show

아르코미술관(Arko Art Center)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미니버스, 오르트 구름, ㄷ떨:안녕인사

    아르코미술관

    2025.04.10 ~ 2025.05.18

  • 작품 썸네일

    제60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귀국전 《구정아-오도라마 시티》

    아르코미술관

    2024.12.20 ~ 2025.03.23

  • 작품 썸네일

    2024 아르코미술관 × 레지던시 해외작가 초대전 《나의 벗 나의 집》

    아르코미술관

    2024.11.21 ~ 2024.12.01

  • 작품 썸네일

    2024 아르코미술관 × 온큐레이팅 협력 주제기획전 《인투 더 리듬: 스코어로부터 접촉지대로》

    아르코미술관

    2024.09.26 ~ 2024.11.03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권정호: 분지의 아픔

    권정호미술관

    2025.03.18 ~ 2025.04.18

  • 작품 썸네일

    나는 웃으며 잠에서 깼다 I woke up laughing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5.03.08 ~ 2025.04.19

  • 작품 썸네일

    이재삼: MOONlight Project

    사비나미술관

    2025.02.19 ~ 2025.04.20

  • 작품 썸네일

    예술의 방식 : 우리가 말하는 것 One Way of Art : What We Say

    청주시립미술관

    2025.02.04 ~ 2025.04.20

  • 작품 썸네일

    하종현 5975

    아트선재센터

    2025.02.14 ~ 2025.04.20

  • 작품 썸네일

    임민욱: 하이퍼 옐로우Hyper Yellow

    일민미술관

    2025.02.28 ~ 2025.04.20

  • 작품 썸네일

    김병기 3주기 기념전 《김병기와 상파울루 비엔날레》

    가나아트센터

    2025.03.05 ~ 2025.04.20

  • 작품 썸네일

    이해니 : The Unseen

    갤러리 도스

    2025.04.16 ~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