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미선
고독한 연결 B&W gelatin silver print, 1994
홍미선
Code Mixed Media, 1994, 개인소장
홍미선
Code (detail) 1994
홍미선
공든 탑 Mixed Media, 1994
홍미선
포도넝쿨 Mixed Media, 1994
홍미선
포도넝쿨 Grape Vine Mixed Media, 1994, 개인소장
홍미선
Installation View, 나무화랑 1994
홍미선
Ion - Jewel Mixed Media, 1993
홍미선
Ion - Life Mixed Media, 1994
홍미선
Icon - Blood Mixed Media, 1994
홍미선
Icon - Grain Mixed Media, 1994
전시리뷰 - 예술의 자율성, 신화만들기, 대중성성장, 순간 감성의 포착
강성원 (미술평론가)
홍미선의 '성장'이라는 주제의 설치 작업은 한 개인이 자신의 성장과정으로부터 신화를 기획하고자 할 때의 그 욕구구조를 적나라하게 드러낸다. 이 말은 그녀의 작업의도가 이 욕구구조를 드러내고자 했다는 뜻이 아니다. 그녀의 작업의도는 단순히 자신의 성장과정을 설치로 표현해 보고 싶은 데 있었을 뿐이다. 또한 자신의 성장과정으로부터 어떤 신화화를 꾀하고자 했던 바도 아니었다. 하지만 그녀의 취향(문화주의)은 자신의 성장에 대한 '현실적'인식보다 '예술적'계기들의 산출에 작업방향에 더 초점을 두게했다. 이로 인해 그녀의 설치작업 '성장'은 한 개인적 기호의 신화화라는 효과를 낳게 된 것이다.
이 효과의 대중적 결과는 전시의 성공이다. 이 시대 여성 대중들 누구나의 욕망으로 자리잡은 '엘리자베스 시대'의 영광에 대한 노스탤지어를, 즉 대중들 누구나 속에 깃들어 있는 그 노스탤지어를 그녀는 어렵지 않은 표현언어로 풀어 보여준 것이다. 대중은 그녀의 이 전시를 좋아했다. 그녀는 이제 우리 미술계의 장에 또 하나의 다른 문화를 기호화시킨 대가로 자기의 위치를 잡아나가기 시작한 셈이다.
하지만 이 전시의 대중적 성공의 비결은 이 지점에 드러내고자 하는 바 그 관념의 총체성을, 영화 스틸 장면을 연상시키는 뛰어난 순간 감성의 포착으로 실제 한 사람의 육체를 통한 한 경험처럼 느낄 수 있게 드러냈기 때문이다. 대중은 또한 이 예술적 기량에 감탄한 것이다. 이같은 기량에 대한 감탄이 개인의 역사의 감각적 신화화에 대한 매혹과 맞물려 전시의 성공으로 빚어냈다고 볼 수 있다.
전시제목성장 The Growth
전시기간1994.09.08(목) - 1994.09.17(토)
참여작가 홍미선
초대일시1994-09-08 17pm
관람시간10:00am~18:00pm
휴관일일요일
장르사진
관람료무료
장소나무화랑 Namu Artist's Space (서울 종로구 관훈동 105 )
연락처02-722-7760
1960년 서울출생
나는 웃으며 잠에서 깼다 I woke up laughing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5.03.08 ~ 2025.04.19
이재삼: MOONlight Project
사비나미술관
2025.02.19 ~ 2025.04.20
예술의 방식 : 우리가 말하는 것 One Way of Art : What We Say
청주시립미술관
2025.02.04 ~ 2025.04.20
하종현 5975
아트선재센터
2025.02.14 ~ 2025.04.20
임민욱: 하이퍼 옐로우Hyper Yellow
일민미술관
2025.02.28 ~ 2025.04.20
김병기 3주기 기념전 《김병기와 상파울루 비엔날레》
가나아트센터
2025.03.05 ~ 2025.04.20
이해니 : The Unseen
갤러리 도스
2025.04.16 ~ 2025.04.22
황충량 : 창으로 비추는 사유
갤러리 도스
2025.04.16 ~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