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주: Single Breath Transfer
2017.11.30 ▶ 2017.12.31
2017.11.30 ▶ 2017.12.31
마이클 주
Production still (Dokdo) 2017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마이클 주
Liminus (West Landing 3) 2017 Silver nitrate and epoxy ink on canvas 135 x 135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마이클 주
Single Breath Transfer (Marshall) 2017 Mold-blown glass 34 x 26 x 24 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Kukje Gallery is pleased to announce Single Breath Transfer, a solo exhibition of new work by Michael Joo on view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31, 2017. This is the artist’s first solo show at Kukje Gallery and his first major exhibition in Korea in almost ten years. The comprehensive exhibition will be installed in both the K2 and K3 galleries and consists of discrete but interrelated bodies of work that explore important areas of research that have occupied the artist for many years.
Single Breath Transfer is a title that alludes specifically to Joo’s interest in how all materials are in a state of constant change. In medicine, a “single breath transfer” is a test done to gauge the ability of the lungs to exchange gases from the atmosphere to the blood stream. This everyday transfer of energy becomes an analogy for nature at work, illustrating a basic law of physics. For Joo, observing this ontological phenomenon is a fundamental part of his practice, framing broader questions about time and culture and how systems of meaning are in constant flux. This is particularly evident in Joo’s multimedia works that relate to the body, energy, and the question of what brings life to things, whether visible or invisible.
Installed on the first floor of the K2 gallery is an entirely new series of sculptures titled Single Breath Transfer (2017), consisting of twelve cast glass forms displayed on custom-made pedestals. The glass sculptures are created by literally capturing human breath in various paper and plastic bags. The act of breathing that creates the initial form is then reenacted by the glass blower into the mold of the initial bag—a literal transfer of the role of breathing. Evoking forms of permanence like the rough-hewn geologic formations found in the Western American deserts or the transience of atmospheric or explosive clouds, these mold-blown cast glass sculptures perfectly embody the transitional state of matter—from solid to liquid to solid. The result is a “frozen” idea that balances Joo’s interest in the physical and the ephemeral.
In Seven Sins (2016) Joo continues to explore the space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The suite of prints depicts stamped numbers on baking trays, which are calculations of expended calories while performing various actions. As the title indicates, the project quantifies how much energy is used while committing each of the seven cardinal sins—namely pride, envy, wrath, sloth, greed, gluttony, and lust—as described in Biblical texts. Images of these trays were then screen-printed onto paper with transparent epoxy, later to be treated with silver nitrate and then finally sealed with a urethane coating to stabilize their unique qualities. The series draws the attention to the miniscule chemical processes that happen in fleeting moments throughout one’s day, imbuing physicality to what is normally hidden or not apparent.
From mining operations in Eastern United States, fossil beds submerged in North Africa, to barrier islands off the Georgia Coast, Joo has consistently worked on-site to address the unfathomable nature of deep time and space as they relate to the more familiar scale of human speed and space. Installed on the second floor, Joo’s Liminus body of works (2017) relies heavily on process to create a series of works on canvas that bridge printmaking and photography, combining them with sculpture and practices echoing scientific fieldwork. These new works reflect Joo’s commitment to research-based practice as well as emphasize his ongoing interest in addressing liminal spaces and places that possess multiple or fluctuating identities. The first site Joo recorded in this way are floors of an old factory building in Brooklyn, New York. The second site is the unique landscape of the Dokdo Islands, located off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 disputed and historically uninhabited string of rock islets currently controlled by South Korea, the complex status of the Dokdo Islands owes to the ongoing discussion of sovereignty between Korea and its neighboring country of Japan. For these works, the artist utilizes a process wherein he arranges the canvas on the ground and layers a coating of transparent resin as a gesture between rubbing and casting to highlight the traces of natural forces and human presence on the ground. The canvases are then left on the site for as long as 72 hours to cure. Joo then subjects each work to a series of chemical processes involving silver nitrate, metallizing the surfaces to increase their reflectivity of both the space and viewer, and thereby bringing life to the inanimate.
K3 will present a new body of hanging sculptures made with volcanic rocks sourced from South Korea’s Civilian Control Zones (near the DMZ). Joo has chosen the rocks based on his interest in the geologic as it relates to time, transformation, and landscape. While found in today’s South Korea, these remnants are theoretically from ancient volcanic activities in mountains located in the North or the DMZ itself. In this way, they mirror a more contemporary sociopolitical drift and evidence the ways in which the natural world is in constant flux. Joo has used these symbols of metamorphosis before, in his installation of the mobile Migrated (2016) at the Freer|Sackler, part of the Smithsonian Institution in Washington, D.C.. Similar to that work, Joo has again used the mapping of the migratory flight patterns of red-crowned cranes as they pass through the liminal space of the DMZ as a basis from which to compose the mobile’s structure. As the narrow brass rods move according to their own shifting equilibriums, these delicately choreographed mobiles depict the strength as well as the contradicting ecological vulnerability of the highly symbolic crane.
In The Story of Us (2017), the artist has made the second mobile with discarded rebar from an abandoned structure on a Dokdo islet and counterbalanced by numerous weathered specimens from its foundations. He has also composited charcoal to sculpt an enlarged doppelganger of a volcanic stone, which is then suspended over a prepared canvas that has been affixed to the floor of the gallery space in the same manner as when Joo works in the field; in this way the sculpture collapses site and referent, and becomes a kind of precarious drawing tool for recording the traces of its circular path through its environment.
Michael Joo’s curiosity and intellectual precision has pushed the boundaries of visual art for more than three decades, returning again and again to research, process, and documentation as mainstays of his practice. Utilizing cross-disciplinary methods that combine art and science, Joo’s work balances complex vocabularies of religion and psychology with the physical sciences of biology and geology, layering observation and material to ask important questions about contemporary social values and how we define the world in which we live.
MICHAEL JOO (b. 1966, Ithaca, New York) received his MFA from the Yale School of Art, Yale University, New Haven, in 1991, and his BFA from Washington University, St Louis, in 1989. The artist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Brooklyn, New York. Joo has held solo shows at numerous institutions including Savannah College of Art and Design, Savannah, Georgia (2016), Freer|Sackler, part of the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2016), The Bronx Museum of the Arts, New York (2014), The Aldrich Contemporary Art Museum, Connecticut (2014), Rodin Gallery, Seoul (2006), and the Palm Beach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Florida (2004). Joo exhibited at the Korean Pavilion at the 49th Venice Biennale together with Do Ho Suh (2001). Selected group exhibitions include: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New York (2015), Sharjah Biennial 12 (2015), 9th Gwangju Biennale (2012), Haunch of Venison, Berlin – a two-person show with Damien Hirst (2010), MoMA PS1, New York (2008), 6th Gwangju Biennale (2006), Serpentine Gallery, London (1994, 2005), and Whitney Biennial, New York (2000). Joo’s work is in the permanent collection of the Museum of Modern Art, Guggenheim Museum,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Walker Art Center, Brooklyn Museum, Moderna Museet, M+, MIT List Visual Arts Center, UCLA Hammer Museum, among others.
국제갤러리는 2017년 11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올해의 마지막 전시로 마이클 주의 개인전 《Single Breath Transfer》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국제갤러리에서 선보이는 그의 첫 전시이자 10여 년 만에 국내에서 열리는 대규모 개인전으로 더욱 의미가 깊다. 국제갤러리 K2와 K3에서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마이클 주가 지난 2년간 뉴욕, 독도, 한반도 비무장 지대(DMZ) 등의 지역에서 연구하고 작업한 회화, 조각, 설치 등 다양한 매체를 아우르는 30여 점의 신작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전시의 타이틀인 《Single Breath Transfer》는 자연만물의 유동적인 상태에 대한 작가의 관심에서 기인한다. 의학 용어 “single breath transfer(단회 호흡법 혹은 일산화탄소 폐확산능검사)”란 폐로 유입된 공기가 혈액으로 녹아 들어가는 정도를 측정하는 임상실험을 일컫는다. 생명을 지탱하는 가장 기초적인 원리인 산소 혹은 에너지의 순환 작용은 일상 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물리적 법칙과 자연의 섭리를 은유한다. 마이클 주의 작업은 이러한 존재론적인 현상에 주목하며, 시간과 문화, 의미를 형성하고 결정짓는 시스템의 유동적인 상태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로 확장된다. 전시에 소개되는 작업들은 신체와 에너지에 대한 이야기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우리의 신체와 특정 장소에 동력을 부여하는 요소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K2 1층 전시장에서 소개되는
<7 Sins>(2016)은 과학과 종교 사이의 문맥을 탐구한 실크스크린 연작이다. 역시 과학적 접근을 수반한 이 작업은 제목이 내포하듯 성서에서 규정하는 7대 죄악, 즉 교만, 시기, 분노, 나태, 탐욕, 탐식, 음욕 등의 행위를 범할 때 소모하는 칼로리 소비량을 0.001초 단위로 측정한 결과물로, 그 소모량을 베이킹 트레이에 새겼다. 이후 트레이를 담은 이미지를 종이에 실크 스크린 기법으로 인쇄한 후 질산은(silver nitrate)으로 처리하여 고유한 흔적을 담은 작품으로 재탄생 시키고, 제작 마지막 단계에서 질감보존을 위해 우레탄 코팅으로 마무리 하였다. 이 연작은 하루에 인간이 행하는 찰나의 행위들에 내포된 사소한 화학적인 변화에 주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숨겨져 있거나 보이지 않는 것들에게 물질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마이클 주는 미국 동부의 채광 지역에서 조지아 주(州)의 보초도(堡礁島), 북아프리카 지역의 화석층에 이르기까지 국경을 막론하고 지질학적, 생태학적, 문화·역사적인 고유성을 간직하고 있는 장소들을 선정하여 작업의 틀로 정하고 그 내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포착하는 기록의 과정을 거쳐왔다. K2 2층 전시장에서 소개되는 14여 점의 캔버스 작업인 (2017)에서도 이러한 작품의 장소-특정성과 정교한 리서치 과정이 주목된다. 작가가 선정한 장소는 대부분 복합적이고 유동적인 정체성을 간직한 경계선상에 위치한다. 전시에 소개되는 캔버스 작업의 절반은 뉴욕주의 공장 일대에서, 나머지는 독도에서 제작되었다. 이번 작업을 위해 작가는 접근성이 까다로운 독도를 방문하여 섬의 지질학적 환경을 탐구함과 동시에 국가적 영토라는 개념에 대한 유연성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언뜻 보기에 회화와 유사한 이 작업들은 작가가 선정한 장소의 지면에 캔버스 천을 고정시킨 후 레진을 사용하여 본을 뜨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마치 3D 사진술을 연상시키는 제작과정은 중력과 결합된 송진이 지면의 굴곡을 따라 고체화됨으로써 표면에 새겨진 세부적인 흔적을 반전된 상(像)으로 캔버스에 담아낸다. 본을 뜨고 송진이 마르기까지 소요되는 72시간 남짓 동안 나뭇가지, 이파리, 새 깃털 등 주변 환경의 일부가 마치 화석과도 같이 자연스레 화면에 함께 붙기도 한다. 이후 캔버스들은 스튜디오로 옮겨지고, 여러 겹의 질산은을 덧칠한다. 작가가 2006년부터 주로 사용해 온 재료 중 하나인 질산은은 마치 거울처럼 화면에 투사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고 관객의 상을 담아내는 등 정적인 화면에 생기를 부여하여 작품을 보다 유연한 매개체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다양한 화학재료를 사용하여 비가시적인 요소를 가시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은 19세기의 초창기 사진술과 판화 공법에서 영향을 받았다. 또한 조각과 생물학을 전공한 작가의 배경을 반영하듯 그의 작업 과정은 입체적이고 지질학적인 현장 조사를 수반한다.
한편 K3에서는 2016년 워싱턴 스미소니언의 아서 M. 새클러 갤러리에서 선보였던 모빌 조각 (2016)와 유사한 작업이자 한반도 비무장 지대의 민간인통제지역에서 채집한 화산암으로 구성된 새로운 설치작업을 선보인다. 화산암은 지질학적인 차원에서의 시간, 변형 작용, 풍경, 그리고 이에 개입된 인간의 흔적을 담아낸다. 화산암 조각은 작가가 DMZ 남방한계선의 남단 지역에서 발견한 것이지만 이론적으로는 오늘날에 접근 불가한 북한 지역에 위치한 산의 화산활동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오늘날의 사회정치적 추이를 반영하면서, 자연이 끊임없는 유동적인 변화 속에 있다는 사실을 반추한다. 천장에 매달린 모빌 작업의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가는 쇠막대는 비무장지대에 서식하는 두루미 떼의 이동 대형을 참고하였으며 자칫 깨지기 쉬운 평형상태를 유지하고자 섬세하게 연출되었다. 멸종위기에 처한 천연기념물인 두루미는 역설적이게도 한반도 비무장 지대에서 생명을 보호받아 왔으며 분단의 현장 한가운데에 강력한 화합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K3에서 소개되는 또 다른 모빌 작업인 (2017)는 독도의 폐기된 구조물에서 버려져 있던 작은 철근들과, 한때 건물의 토대를 구성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간과 자연에 의해 마모된 돌들로 구성된다. 모빌의 하부에 매달린 가장 큰 ‘바위’는 작은 화산석을 3D 스캔하여 100배 이상으로 확대한 후 목탄으로 제작한 인공물로 모빌이 서서히 회전할 때 전시장 지면에 위치한 캔버스 천에 타원형의 궤적을 남기도록 하였다. 이 작품은 장소의 일부(목재)가 그 장소를 담는 도구로 재현되는 과정을 드러낸다.
마이클 주는 지난 30여 년간 남다른 지적 호기심과 명민함으로 연구, 기록, 그리고 과정에 중점을 둔 예술적 실험을 거듭해왔으며 그 과정에서 미술 내의 다양한 매체를 하나의 작업으로 합치시키는 등 예술의 경계선을 확장시켜왔다. 예술과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시키는 마이클 주 특유의 예술적 언어는 종교, 심리학, 물리학, 생물학, 지질학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며, 물질성에 대한 관찰과 탐구를 통해 사회적 가치관과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인식하고 정의 내리는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1966년 미국 뉴욕 이타카 출생인 마이클 주는 워싱턴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한 후 1991년 예일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뉴욕 브루클린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사바나예술대학(SCAD) 미술관, 워싱턴 스미소니언의 프리어·새클러 갤러리(2016), 뉴욕 브롱스 미술관, 코네티컷 알드리치 현대미술관(2014), 삼성 로댕갤러리(2006), 플로리다 팜 비치 현대미술관(2004) 외 유수의 기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2001년 제 49회 베니스비엔날레에서는 서도호와 함께 한국관 대표작가로 선정되어 화제를 모은 바 있다. 대표적인 단체전으로는 뉴욕 휘트니 미술관 재개관전(2015), 샤르자 비엔날레 12(2015), 제 9회 광주비엔날레(2012), 베를린 헌치 오브 베니슨 갤러리 개최 데미안 허스트와의 2인전(2010), 뉴욕현대미술관(MoMA) PS1 기획전(2008), 제 6회 광주비엔날레(2006), 런던 서펜타인 갤러리 기획전(1994, 2005), 뉴욕 휘트니비엔날레(2000)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뉴욕현대미술관, 구겐하임 미술관, 뉴욕 휘트니 미술관, 워커아트센터, 뉴욕 브루클린 미술관, 스톡홀름 현대미술관(Moderna Museet), 홍콩 M+, MIT 리스트 비주얼 아트센터, UCLA 해머미술관 등 전세계 주요 미술기관에 소장되어 있다.
1966년 뉴욕 이타카출생
송영규: I am nowhere
갤러리 그림손
2024.10.30 ~ 2024.11.25
김지혜 : SOMEWHERE 어디에나 있는, 어디에도 없는
갤러리 도스
2024.11.20 ~ 2024.11.26
Rolling Eyes: Proposals for Media Façade 눈 홉뜨기: 미디어 파사드를 위한 제안들
대안공간 루프
2024.11.13 ~ 2024.11.26
선과 색의 시선 Perspective of Lines and Colors
필갤러리
2024.10.10 ~ 2024.11.27
제15회 畵歌 《플롯: 풀과 벌의 이야기 Plot: The Story of Wild Grasses and Bees》
한원미술관
2024.08.29 ~ 2024.11.29
오종 개인전 《white》
페리지갤러리
2024.10.11 ~ 2024.11.30
여세동보 與世同寶: 세상 함께 보배 삼아
간송미술관
2024.09.03 ~ 2024.12.01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특별전 《시천여민 侍天與民》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6 ~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