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8 띠그림전 《개[犬]》
2018.02.21 ▶ 2018.04.15
2018.02.21 ▶ 2018.04.15
전시 포스터
박경묵
犬如竹圖 종이에 먹, 채색, 136.5×69cm, 2018
박형진
Bridge over troubled water 캔버스에 아크릴채색, 32×32cm, 2017
박효민
Contemporaries冬 장지에 채색, 175×130cm, 2014
곽수연
tea time(十二支神) 장지에 채색, 121×189cm, 2016
이아영
아무도 모르게 장지에 채색, 52.5×64.5cm, 2018
정헌칠
집착執着 한지에 수묵담채, 80×55cm, 2013
진민욱
snowscape 비단에 채색, 110×110cm, 2012
그림 속의 개
사람과 개가 함께 한 역사는 약 1만 4000년이나 된다. 실제로 우리 주변 어디에서나 볼 수 있듯 개는 사람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라고 할만하다. 연구에 따르면 개는 진화하는 과정에서 능동적, 적극적으로 사람에게 순종하였다고 한다. 야생의 늑대 가운데 일부가 사람들의 주거로 들어갔고, 그곳에서 습성, 육체적인 특징까지 바꾸어가며 적응해갔던 것이다. 이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사람들과 더욱 긴밀해질 수 있었다.
자연스럽게 그림의 제재로 개가 등장하는 일도 생겼다. 개 그림은 동서양 모두에서 그려졌지만 특히 14세기 이후 서양에서 활발히 다루어졌다. 반면 동아시아의 경우 지속적으로 개 그림이 그려지긴 했지만 수량적으로 20세기 이전의 사례는 그다지 많지 않다. 이는 일찌감치 개를 반려동물, 애완동물로 삼았던 서양과 사냥 · 경계警戒 및 식용食用으로까지 삼았던 동아시아의 상황 및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개를 기능성이 강한 동물로 여기다보니 미적美的 관점에서 배제되었던 셈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고구려 무덤인 안악3호분 벽화(357)에서 개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그 역사가 오래되었으며, 조선시대 초기의 왕족화가인 이암李巖(1499-)은 「모견도母犬圖」와 같은 서정적인 개 그림으로 당시 일본에까지 명성을 날렸다. 또한 조선후기의 궁중화가 김두량金斗樑(1696-1763)은 서양화풍을 가미한 박진감 넘치는 개 그림을 그리기도 했다. 개 그림이 그려지기 어려웠던 사회문화적 여건 속에서도 뛰어난 화가들에 의해 개 그림의 명맥이 유지되어온 것이다.
그렇지만 20세기 이후 서구 위주로 사회, 문화가 재편되면서 개 역시 애완동물로서 우리의 삶 속에 보다 깊이 들어오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개 그림도 많이 그려지게 되었다. 우리 시대 작가들도 다양한 기법과 발상을 기반한 개 그림을 통해 미술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전통적으로 개는 개를 의미하는 한자인 '술戌'자字가 지킬 '수守'자와 발음이 유사하여 집과 가족을 지켜준다는 상징을 지니기도 했다. 아름다운 개 그림과의 만남을 통해 미적 감수성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복도 빌어볼 수 있지 않을까.
■ 장준구
전시제목이천시립월전미술관 2018 띠그림전 《개[犬]》
전시기간2018.02.21(수) - 2018.04.15(일)
참여작가 곽수연, 박경묵, 박형진, 박효민, 이아영, 정헌칠, 진민욱
관람시간10:00am - 06:00pm / 입장마감_05:30pm
휴관일월요일 휴관
장르회화
관람료성인 2,0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600원
장소이천시립월전미술관 WOLJEON MUSEUM OF ART ICHEON (경기 이천시 경충대로2709번길 185 (관고동, 이천시립월전미술관) 1, 2전시실)
연락처031.637.0033
1977년 출생
나는 웃으며 잠에서 깼다 I woke up laughing
아트센터 예술의 시간
2025.03.08 ~ 2025.04.19
이재삼: MOONlight Project
사비나미술관
2025.02.19 ~ 2025.04.20
예술의 방식 : 우리가 말하는 것 One Way of Art : What We Say
청주시립미술관
2025.02.04 ~ 2025.04.20
하종현 5975
아트선재센터
2025.02.14 ~ 2025.04.20
임민욱: 하이퍼 옐로우Hyper Yellow
일민미술관
2025.02.28 ~ 2025.04.20
김병기 3주기 기념전 《김병기와 상파울루 비엔날레》
가나아트센터
2025.03.05 ~ 2025.04.20
이해니 : The Unseen
갤러리 도스
2025.04.16 ~ 2025.04.22
황충량 : 창으로 비추는 사유
갤러리 도스
2025.04.16 ~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