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포스터
박주연
여름빛 2008-2012, 8미리 필름 비디오 전환, 반복 재생, 가변 설치
박주연
여름빛 2008-2012, 8미리 필름 비디오 전환, 반복 재생, 가변 설치
도윤희
무제 300x200cm, 캔버스에 유채, 2015
도윤희
무제 160x135cm, 캔버스에 유채, 2013
이진원
집 2018, 캔버스에 아크릴, 146x112cm
이진원
무제 2017, 캔버스에 아크릴, 146x112cm
홍범
스러지는 빛들 2016, 영상설치
홍범
스러지는 빛들 2016, 영상설치
정보영
세우다 2018, 캔버스에 유채, 116.8x91cm
정보영
지나가다 2017, 캔버스에 유채,130.3x194cm
정정주
Curved Passage 2017, 3D 애니메이션, 액자화된 55인치 모니터
황선태
빛이 드는 공간 2017, 강화유리에 샌딩, 유리전사, LED, 51x68x4cm
정정주
office 2016, 3D 애니메이션, 액자화된 19인치 모니터
황선태
어느 날 오후 2014, 강화유리에 샌딩, 유리전사, LED, 102x81x5cm
빛의 국면
빛은 가시적 세계의 근원이다. 비물질인 빛은 물질 세계를 인식할 수 있게 해준다. 빛이 있어서 우리는 사물을 볼 수 있고 색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빛은 오랫동안 서양의 미술사의 핵심이 되었다. 빛의 음영과 그림자로 사물의 양감을 표현함으로써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환영의 공간을 구현해 내면서 르네상스 이후 인상주의에 이르기까지 서양미술의 역사는 빛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미술에서 빛의 사용은 이러한 가시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것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었다. 빛은 고대로부터 신성과 동일시되고 신의 현시를 상징하는 매개로 이해되는가 하면 상징적, 종교적, 철학적 의미를 전달하는 매체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미술기술이 발달하면서 사진과 영화가 등장하고 초고속으로 현대 과학기술과 전자기술이 발달 함에 따라 그것을 적극 수용하는 작가들이 늘어나게 되었고 빛과 조명을 사용한 다양한 현대미술의 실험은 빛을 더욱 적극적으로 미술작품 안에 끌어들이게 되었다. 빛은 그 자체로 매체적 가능성으로서 고려되기 시작한 것이다.
≪빛의 국면≫ 전시에 참여하는 작가들은 빛을 적극적으로 작품에 이용하는 작가들이다. 하지만 그것을 매체 자체로 사용하거나 고전적인 방식의 재현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인간의 지각 방식과 감각의 확장을 통해 빛이 보여주지 못하는 것을 보려고 하고 그 이면에 감추어져 있는 것을 찾아내고자 하며 빛을 통해 인간 존재 자체에 대한 철학적 고민을 담고 있기도 하다.
21세기를 사는 우리의 생활을 지배하는 것은 자연의 빛 보다는 인공 빛이라고 할 수 있다. 매일 들여다 보는 스마트폰의 액정, 컴퓨터와 TV모니터, 실내를 밝혀주는 조명과 자동차의 조명 등 수 없이 많은 인공 빛에 우리는 둘러 쌓여 살고 있다. 그러한 빛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세상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술은 항상 우리가 현실을 살고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빛의 국면≫은 빛이 밝혀주는 것만을 볼 것이 아니라 빛이 없는 곳에서도 모든 감각을 동원해 세상을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을, 너무 밝은 빛의 중심에서는 주변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 강성은 큐레이터
Phase of Light
Light is the source of visible world. Material world can be perceived through light immaterial. Light enables us to see things and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colors. Thus it has lain in the heart of the Western art history for a long time. By expressing volume of things by means of light, artists could embody illusionary space of three dimensions on a plane of two dimensions. Therefore, it is not too much say that from Renaissance to Impressionism, the history of the Western art was developed centering around light.
However, using light in art was not limited to expressing this visible world. Since ancient times, light often has been identified with divinity, recognized as a medium symbolizing epiphanies of gods.
As modern art technology developed, photographs and motion pictures made their appearance, what is more, as modern scientific and electronic technology made a rapid progress, more and more artists willingly accepted them. As a result,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s using light and lightings, light was aggressively taken into art works. Now, light itself got considered a medium of possibility.
The artists who participate in phase of Light positively use light in their works. However, they don’t use it as a medium or an instrument for repeating classical ways. Rather, by extension of human perception and sense, they try to see what light doesn’t show and discover what is hidden in the other side of it and put philosophical reflection on human existence itself with light.
It is not natural light but artificial light that keeps our 21st century’s life in its control. We live surrounded by innumerable kinds of artificial light for instance the display screen on the smartphone, TV screen, computer monitor, interior lighting and car lighting in our daily lives. This artificial light helps us recognize the world while living, though. Art is always about the way of our living and understanding reality. Phase of Light suggests that in the center of too much light, the things in and around it can’t be seen. Thus it tells us to see not only what light show but also the world using all our senses without light.
■ Kang, Sung-eun Curator
1961년 출생
1973년 출생
1970년 출생
1972년 출생
송영규: I am nowhere
갤러리 그림손
2024.10.30 ~ 2024.11.25
김지혜 : SOMEWHERE 어디에나 있는, 어디에도 없는
갤러리 도스
2024.11.20 ~ 2024.11.26
Rolling Eyes: Proposals for Media Façade 눈 홉뜨기: 미디어 파사드를 위한 제안들
대안공간 루프
2024.11.13 ~ 2024.11.26
선과 색의 시선 Perspective of Lines and Colors
필갤러리
2024.10.10 ~ 2024.11.27
제15회 畵歌 《플롯: 풀과 벌의 이야기 Plot: The Story of Wild Grasses and Bees》
한원미술관
2024.08.29 ~ 2024.11.29
오종 개인전 《white》
페리지갤러리
2024.10.11 ~ 2024.11.30
여세동보 與世同寶: 세상 함께 보배 삼아
간송미술관
2024.09.03 ~ 2024.12.01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특별전 《시천여민 侍天與民》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6 ~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