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노동
2018.12.04 ▶ 2019.01.06
2018.12.04 ▶ 2019.01.06
전시 포스터
서해영
여성미술가를 위한 도구 만들기2-타피스트리 협업의 도구(콤부손잡이) 2014, 석고, 나사 plaster, screw, 각 20 x 5 x 4 cm, 가변크기 each 20 x 5 x 4 cm, variable dimension
이준형
Out of Frame 2014, 시네마그래프 cinema graph, 가변크기 variable dimension
임가영
Painting_서울대학교미술관 혼합매체, 가변설치, 2018 (02)_이전 전시 설치 전경
서해영
여성미술가를 위한 도구 만들기2-타피스트리 협업의 도구(원형틀) 2014, 앵글, MDF 합판,못,면사 MDF, nail, cotton threads 지름100cmx높이180cm diameter100cmxheight180cm
이준형
Out of Frame 2013, 캔버스틀을 뜯어 만든 뗏목 raft, red cedar, 300 x 75 x 9 cm
임가영
Painting_서울대학교미술관 혼합매체, 가변설치, 2018
서해영
나에게 필요한 도구 만들기-헤라 2012-2013, 일상용품 everyday objects, 가변크기 variable dimension
이준형
Out of Frame 2014, 단채널 비디오 single channel video, 32’ 21”
서해영
Painting _서울대학교미술관 2018, 혼합매체 mixed media, 가변설치 variable dimension
이정형
현장 콜렉션 Collection from Construction Site 2016, 공사 현장에서 찾은 오브제 objects from construction site, 가변설치 variable dimension
이정형
현장 보고서 Field Report 2016, c-print, 가변설치 variable dimension
이정형
현장보고서, 현장 콜렉션
예술과 노동, 이 둘은 서로 척도가 다릅니다. 또한 예술을 위한 노동은 여타 일반 노동과 구분하기 마련입니다. 여기에는 가치의 문제, 자본의 문제, 창조성의 문제, 보상의 문제 등 여러 면에서 상충된 입장이 존재합니다. 이번 전시는 ‘예술’과 ‘노동’ 이라는 일견 어울리지 않는 두 개념을 묶어 그 사이 발생하는 긴장감과 모순을 통해 노동의 가치문제, 예술과 노동의 접점 및 한계, 그리고 노동으로서의 예술 등을 다각도로 바라보고자 합니다.
서해영 작가는 일상의 노동을 예술로 전환시켰다. 작가는 이를 ‘도구’의 틀 안에서 해석하고 있는데, 여성들을 위한 협업의 도구인 태피스트리 제작 틀은 원형의 형태로 되어있어 둘러앉아 작업하며 대화와 논쟁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성에게 맞춰진 노동의 도구를 사용한 협업의 결과물은 예술작품으로 전시되어 일상의 노동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이정형 작가는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설치하는 노동자로 참여하는 과정을 자신의 작품 <현장 보고서>와 <현장 콜렉션>에 도입한다. 작가는 생계를 위한 노동(비예술)을 자기만족을 위한 노동(예술)으로 끌어들여 이 둘 사이의 분리를 무화시킨다.
이준형 작가의 작품
임가영 작가의 작품
전시제목예술과 노동
전시기간2018.12.04(화) - 2019.01.06(일)
참여작가 서해영, 이정형, 이준형, 임가영
초대일시2018년12월 04일 화요일 05:00pm
관람시간10:00am - 06:00pm
휴관일매주 월요일 휴관
장르조각, 설치
관람료일반(만 19세 이상, 대학생 포함) 3,000원
청소년(만 7세~만 18세) 2,000원
어린이(만 3세~만 6세) 2,000원 (보호자 동반시 1인 무료)
단체(20인 이상) 2,000원 (인솔자 1인 무료)
장소서울대학교미술관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 관악구 관악로 1 (신림동,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미술관 코어갤러리)
연락처02-880-9504
1983년 출생
1983년 출생
1976년 출생
1984년 출생
2025 아트저지: 현유정_속삭임
제주현대미술관
2025.03.18 ~ 2025.09.14
2025 스틸아트작가조망전 최옥영: 물성, 감각하는 철
포항시립미술관
2025.05.27 ~ 2025.09.14
20회 장두건미술상 수상작가 이정:왕거미가 당신을 주시하고 있어!
포항시립미술관
2025.05.27 ~ 2025.09.14
장두건 _ 투계: 끝없는 완성
포항시립미술관
2025.05.27 ~ 2025.09.14
마나 모아나-신성한 바다의 예술, 오세아니아
국립중앙박물관
2025.04.30 ~ 2025.09.14
2025 소장품전 김아영: 다공성 계곡2
전남도립미술관
2025.07.15 ~ 2025.09.14
2025 어린이전시: 기다려-색!
전남도립미술관
2025.07.15 ~ 2025.09.14
이명진 : Moonlight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2025.07.16 ~ 2025.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