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수백복 百壽百福 조선시대 민화전
2019.02.01 ▶ 2019.02.24
2019.02.01 ▶ 2019.02.24
전시 포스터
백수백복 百壽百福
운룡도 雲龍圖 Dragon in Clouds 19세기, 19th century, 종이에 채색, Color on paper, 60x47cm
백수백복 百壽百福
운룡도 雲龍圖 Dragon in Clouds 19세기, 19th century, 종이에 채색, Color on paper, 120x75cm
백수백복 百壽百福
호작도 虎鵲圖 Tiger and Magpie 조선 후기, Late Joseon period, 종이에 채색, Color on paper, 89.5x55.5cm
백수백복 百壽百福
호작도 虎鵲圖 Tiger and Magpie 조선 후기, Late Joseon period, 종이에 채색, Color on paper, 92.5x63cm
백수백복 百壽百福
봉황도 鳳凰圖 Phoenixes 19세기, 19th century, 종이에 채색, Color on paper, 73x61.5cm (each)
백수백복 百壽百福
전시전경
백수백복 百壽百福
전시전경
롯데백화점은 기해년 새해를 여는 첫 전시로, <백수백복 百壽百福 - 조선시대 민화전>을 롯데백화점 잠실점 에비뉴엘 아트홀(1/10~1/28)과 롯데갤러리 영등포점, 안양점(2/1~2/24)에서 개최한다.
민화는 조선 후기 민간계층에서 유행한 그림을 일컫는다. 민화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시기는 18~19세기로 추정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민화는 19세기~20세기초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조선 후기인 18세기는 민간계층의 문화가 융성해지기 시작한 시기였다. 임진왜란(1592~1598)과 병자호란(1636) 이후 전쟁의 여파에서 벗어나며 농업생산량이 증가하고 경제가 발달하기 시작했고, 중인 계층의 경제력이 강화되고 양반 중심의 신분제가 약화되었다. 경제적인 여유가 생긴 중인 계층을 중심으로 왕실과 사대부 문화를 모방한 형태로 그림의 유통이 확산되었으며, 민간에서 제작과 소비가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그림, 민화(民畵)가 성행하게 된다. 풍속화가 상류 계층에 의한 민간 생활상을 주제로 한 그림이라면, 민화는 민간의 회화였다. 민화라는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한 일본의 민예연구가 야나기 무네요시는 민화를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소비된 그림이라고 설명하였다.
‘복을 바라나이다’-길상화(吉祥畫)로서의 조선시대 민화 읽기
민화는 당시 민중들의 바람을 담고 있다. 특히 삶의 평안과 속세에서의 행복을 기원하는 마음이 집약적으로 나타난다. 길상(吉祥,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조짐) 문화가 성행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로, 조선의 국운이 다하던 19~20세기를 거치면서 더욱 융성하였다. 전쟁을 거친 후 현세구복(現世求福) 성격의 도교적 길상 문화가 확산되었고, 학문으로서의 도가보다는 인간의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민간신앙 성격이 짙었다. 불안감이 클수록 사람들은 기복(奇福)을 통해 삶의 안녕을 원하였고 이러한 사회상은 민화에 깊게 투영되었다. 한편 양명좌파(陽明左派)와 같은 진보 학문이 유입되면서 개인의 욕망을 인간의 본성으로 수용하고 긍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식의 토대도 마련되었다.
길상(吉祥)과 벽사(辟邪) 용도의 그림으로는 문배(門排, 액을 쫓고 복을 받기 위함)와 세화(歲畫, 새해를 축원하는 그림)가 있었다. 궁중에서 제작된 세화는 새해를 송축하는 의미로 왕이 신하들에게 하사하는 용도로 활용되었고, 이후 양반층으로 확대되어 세시풍속으로 전해져 왔다. 세화는 조선 초 중기까지 지배층의 전유물이었으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민간계층의 경제력 성장과 신분 상승 등의 사회 변화와 맞물려 널리 퍼지게 되었으며 왕실과 사대부 문화를 모방한 형태로 민화 속에 정착하였다. 실제로 민화에서 주로 다뤄지는 소재들은 문배나 세화에서 유래된 도상들이 대부분이며, 길상의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어 상서로운 물상이 되었다.
책거리, 화조도, 서수도, 모란도, 호작도, 운룡도, 문자도, 십장생도, 봉황도 등 다양한 소재를 아우르는 민화는 장수와 다산, 출세, 가정의 화목, 액막음, 부귀영화와 같은 길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민화 속 대표적인 길상인 수(壽), 부(富), 강녕(康寧)은 매우 현실적인 개념들이다. 현세에서의 행복을 바라는 마음, 나쁜 것은 피하고 좋은 것만 취하고 싶은 마음, 길상을 바라는 마음이 얼마나 세
속적이고 보편적인 인간의 심리인가. 왕실에서 제작한 세화에서 신선도, 선녀도 같은 도교적 성격의 소재들이 많이 등장하는 것이 왕실의 평안과 안정을 기원하고자 함인 것처럼, 장수와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하는 것에는 신분의 귀천이 있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민화는 민간의 그림이었지만, 민간에서만 소비되던 그림은 아니었다. 또한 민화 속에 담겨있는 현세적인 가치관과 삶을 잘 살아가고자 하는 욕망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도 유효한 것들이다. 이번 전시가 그림으로 복을 기원했던 옛 선조들의 마음을 헤아려보고, 새해 우리의 소망도 맘껏 빌어볼 수 있는뜻 깊은 자리가 되길 바란다.
송영규: I am nowhere
갤러리 그림손
2024.10.30 ~ 2024.11.25
김지혜 : SOMEWHERE 어디에나 있는, 어디에도 없는
갤러리 도스
2024.11.20 ~ 2024.11.26
Rolling Eyes: Proposals for Media Façade 눈 홉뜨기: 미디어 파사드를 위한 제안들
대안공간 루프
2024.11.13 ~ 2024.11.26
선과 색의 시선 Perspective of Lines and Colors
필갤러리
2024.10.10 ~ 2024.11.27
제15회 畵歌 《플롯: 풀과 벌의 이야기 Plot: The Story of Wild Grasses and Bees》
한원미술관
2024.08.29 ~ 2024.11.29
오종 개인전 《white》
페리지갤러리
2024.10.11 ~ 2024.11.30
여세동보 與世同寶: 세상 함께 보배 삼아
간송미술관
2024.09.03 ~ 2024.12.01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특별전 《시천여민 侍天與民》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6 ~ 202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