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 / Image-Fragment of the time

2020.07.30 ▶ 2020.08.09

금호미술관

서울 종로구 삼청로 18 (사간동, 금호미술관) 2층

Homepage Map

페이스북 트위터 링크 아이콘
  • 작품 썸네일

    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Image-Fragment of the time) acrylic & oil on canvas, 112.1×162.1cm, 2020년

  • 작품 썸네일

    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Image-Fragment of the time) acrylic & oil on canvas, 112.1×162.1cm, 2020년

  • 작품 썸네일

    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Image-Fragment of the time) acrylic & oil on canvas, 112.1×162.1cm, 2020년

  • 작품 썸네일

    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 : Trans the MYTH acrylic & oil on canvas, ∅160cm, 2020년

  • 작품 썸네일

    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 : Trans the MYTH acrylic & oil on canvas, ∅160cm, 2020년

  • 작품 썸네일

    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 : Trans the MYTH installation view, 2020년

  • 작품 썸네일

    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 : Trans the MYTH installation view, 2020년

  • Press Release

    Multiple Tunes with Collection of Media Image and Composite Collage
    Ahn, Hyun-Jung|Art Critic, Ph.D. Art Philosophy

    The artist Chung, Young-Han is well-known for Surrealistic Photo-realism in contemporary art. But, his paintings represent composite collage and it claims to support conceptual art using photographic images and texts of todays. His inter-media art works should evaluated the Zeitgeis of 21st century because the methodology of his text image paintings(MYTH/LOST) is based on ‘immediate collection’ in contemporary image issues and it is connected John Baldessari(1931-2020)’s conceptual art.

    Doubling Strategy of LOST, Rediscover of Mythos(MYTH)
    At the Kumho Museum of Art, Chung, Young-Han hold his 25th solo-exhibition with the recent painting series and it’s reinterpreted art works, all of the exhibits have relation to the artist’s ‘Habitualität’(acquired habitual practice). The text in contemporary media(books, films and internet, etc.) has power of making popular stereotype, and the power often paralyzes possibility of a different interpretation for ‘myth’ or ‘hero/heroine’ of yesterday. Also, it makes ‘standardized eyes to believe as it looks through media’ in Warenästhetik( the commodity aesthetics). Chung, Young-Han’s recent art work features sensational language such as MYTH, HISTORY, BASICS, HUMOR, LIFE, YOUTH, HONOR, FANTASY, LOVE, DREAM, ROMANCE and image as connotative language with seascapes, toys, and portraits(iconic people). But, the representation from the figurative images in his paintings reveal the non-representational reality that bleached by artist’s neutral color effect not for real or photorealistic similarity. This is the doubling strategy of Chung, Young-Han’s art works: reversal of the meaning or image semiotics and re-recognition of lost value through the media image. It is his intention to rediscover the Mythos(Myth) of our time also to get the viewers to consider actively and enjoy the art works on viewers parts. Mythos means original story or root of mythology, it is connected by allegory of art and poetic literature in a broader sense.

    The way of media appropriation and words play in Chung, Young-Han’s art works stated from his early works and the methodology is linked to popularity and the traditional figurative painting’s essential techniques as ‘hand paint’. It was caused by the artist’s extraordinary insight into art history and consumerism in contemporary art. Chung, Young-Han has different point from criticism about media image and consumer culture, and he interprets positively that “one of the characteristic of 21st century’s painting is multiple meanings of text and image.” In his view, the text in his painting ‘MYTH’ and ‘LOST’ are new kind of dialectic for equilibrium between difference and repetition, comparisons and contrasts, or tradition and modern.

    Communication strategy in contemporary art and culture owe Roland Barthes(1915-1980), but there is no longer any point in quotin the question about construction or reconstruction. In this sense, Chung, Young-Han’s series represent reversal the context of his series(2005-2015); in his recent works, layers of wave and flower as object of his past painting take over the full canvas with the word ‘MYTH.’ As a sign or denotation, ‘MYTH’ makes three-dimensional space and it strikes at dichotomous thinking about art and popular culture and it is the labor-intensive result. So,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question what myth means. The artist is continuously interested in media changing and he collects the image on the web, magazines, or films, and he makes new art works by the systematic process of his own working structure to emphasize planar surface, colored planes, and figurativity. This artist’s focuses on the act of ‘hand paint’ and he is trying to speak truth with connotations, therefore, the artist’s text image should understand ‘figurative language’ and unusual creativity to break usual stereotypes.

    The dialectic of ‘deconstruction-regeneration-return’ penetrates significantly the contemporary culture with the concept of ‘flow’ in Chung, Young-Han’s painting especially the text image series with MYTH and TIME. The paintings look similar but each of the art works have slightly different nuances with the repetition and difference, so these art works reveal observational perspective on the image interpretation across the conventional value. This concept of Chung, Young-Han should understand the painter’s endeavor to explore ‘new dimension of representation’ or the insightful autobiographic essay on the space of ‘image and time.’ Also, the way to select image, he presents observational attitude accepting popularity and avant-garde of postmodernism and mythodology with his doubling strategy using appropriation, reproduction, and pastiche. In particular, Chung, Young-Han reinterprets temporality of postmodernism or Douglas Crimp(1944-2019) said that “time and belief in a continual process shifted to a more subjective experience of participants” as ‘multiple tunes of composite collage’ and thorough planned composition after considering pop art, conceptual art, photorealism and minimalism.

    Chung, Young-Han describes on his painting that is based on inquiring mind not just emotional expression, so his art works seek for adventurous spirit in contemporary through Icon of our time(hero/heroine) or myth in his paintings. Question of his art works with compromise between different images, the matter of essential and reconstructing in art today. After all, his art works is “a sophisticated image language let us fully information to keep focused on the paintings, by extension, it creates an opportunity for self-reflect,” and “new kind of Academism of contemporary art allowing objects or events, even hero and it captivates people,” there is an aesthetic of painting in 21st century that the artist’s seeks.



    미디어 채집과 복합콜라주의 다중 변주
    안현정|미술평론가․예술철학박사

    정영한 작가는 밀레니얼 이후 초현실적 포토리얼리즘을 대표하는 중견작가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작품 속 언어와 동시대 사진 이미지를 활용한 구상회화는 개념미술과 결합된 ‘복합콜라주(composite collage)’의 형태를 띤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존 발데사리(John Baldessari, 1931-2020)가 추구해온 문자와 사진의 결합, 언어와 시각성의 상관관계를 계승하면서도 신화 상실(MYTH/LOST)의 시대가 추구해온 ‘즉각적 채집성’을 작품의 주요 코드로 삼았다는 점에서 장르를 가로지르는 21세기의 동시대 양식을 창출했다고 평해야 한다.

    LOST의 이중전략, Mythos의 회복 언어
    금호미술관에서 선보이는 <이미지-時代의 斷想> 근작과 변용된 시리즈는 잡지 혹은 미디어의 세련된 단면을 사진 찍듯 기억해내는 작가의 평소 습관과 연계돼 있다. 현대 미디어가 추구해온 텍스트의 힘은 우리의 사고를 대중화된 스테레오 타입으로 고정시키고, 과거의 영웅이나 신화가 내포해온 다양한 해석가능성을 마비시킨다. 미디어 산업이 만든 상품미학의 가치 속에서 ‘보여주는 것을 그대로 믿어버리는 획일화된 눈’을 조장하는 것이다. 바다, 인형, 인물들이 펼쳐진 세련된 포스터 이미지 속에는 잃어버린(LOST) 원본의 가치들이 MYTH, HISTORY, BASICS, HUMOR, LIFE, YOUTH, HONOR, FANTASY, LOVE, DREAM, ROMANCE 등의 인문학적 감성언어와 함께 2차원의 평면언어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 재현적 이미지가 주는 대표성은 실제 사진 이미지가 아닌 작가가 중성 색채로 표백화한 탈재현적 리얼리티의 표상이다. 말 그대로 정영한은 미디어를 통해 자연스럽게 생산 및 소비되는 이미지들의 기호학적 의미체계를 전복시키면서 이미지가 가진 인위성(혹은 허구성) 위에 잃어버린 가치를 새롭게 재편(Re-recognition) 하는 이중전략을 사용한다. 감상자로 하여금 능동적인 작품해석을 유도하면서 수동적 관람방식을 성찰케 하여 잃어버린 ‘뮈토스(Mythos)’의 감성을 회복하려는 취지이다. 뮈토스는 신화원형이 전달해주는 본래의 언어(뿌리)를 의미하는데, 넓은 의미에서는 시(詩)를 비롯한 문학과 예술의 진정한 알레고리(참뜻)와 맞닿아 있다.

    작가의 20대 시절부터 등장해온 미디어의 차용과 다중언어를 재조합하는 방식은 대중적 성격을 가짐과 동시에 회화의 아카데미즘이 간절히 지켜온 ‘그린다(paint)’는 구상성과도 연결돼 있다. 이것은 소비문화가 만든 미디어의 속성을 직관하면서도 화가로서의 정체성을 놓지 않으려는 정영한 작가의 탁월한 통찰성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발데사리 이후 대중매체 이미지들을 차용한 많은 작가들은 개념미술의 전략 속에서 미디어와 소비문화의 만연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보았으나, 정영한은 “21세기 회화성을 틀이 규정되지 않은 긍정의 다층언어”로 해석한다. 그에게 MYTH와 LOST라는 상반된 내용언어는 개념을 뛰어넘은 차이/반복, 비교/대조, 전통/현대라는 상반되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변증법의 추구인 것이다.

    현대미술에서 소통(Communication strategy)을 이야기하려면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를 빼놓을 수 없듯이, 구조냐 탈구조냐를 규정짓는 자체가 이젠 무의미한 시대가 되어 버렸다. 이를 반영하듯 <이미지-시대의 斷想 : Trans the Myth>에서는 <우리時代 神話>(2005~2015) 연작에서 등장하던 시대의 아이콘(앤디 워홀·마릴린 몬로·스티브 잡스 등)이 배제되고 배경으로 등장하던 바다와 오브제로서의 꽃이 전면에 등장하는 컨텍스트의 역전을 보여준다. MYTH라는 기호 뒤에 3차원 공간으로 확대된 컨텍스트의 외연화는 고급/저급 혹은 대중성/예술성을 나누는 이분법을 뒤흔드는 작가의 노동집약적 결과물인 것이다. 그러하기에 작품 안에서 더 이상 무엇이 신화냐는 질문은 필요 없어 보인다. 작가는 사진과 미디어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인터넷·잡지·영상매체에 남겨진 변화를 감각적으로 채집하고, 단계별로 조직한 자신만의 구조위에서 평면성·색면성·형상성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작가는 그린다는 행위성에 중점을 두고 함축적인 의미 속에서 본래의 진실을 전달하고자 한다. 이러한 뮈토스의 구조와 함께 등장한 언어는 일상적인 의미와 다른 ‘비유 언어’이자 통상적 사물체계에서 벗어나려는 낯선 창의성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Myth와 Time으로 구성된 텍스트 연작들 속에서도 ‘해체-재생-복귀’의 변증법은 ‘흐른다(Flow)’는 순환의 개념 속에서 동시대 문화를 극명하게 꿰뚫는다. 동일해 보이지만 다른 뉘앙스 속에서 반복과 차이를 드러낸 작품들은 고정된 가치를 가로지른 맥락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미지와 해석 그 자체를 관조하고 있다. 이렇듯 ‘이미지와 시대의 간극’을 동시대 언어로 통찰하려는 태도는 경제적 풍요를 누리며 미디어 이미지들(텔레비전·영화·잡지·광고)의 홍수 가운데 성장한 작가의 자전적 에세이이자 ‘새로운 차원의 재현(New dimension of representation)’을 탐구하려는 회화작가로서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미지를 선택하는 방식 역시 20세기 팝아트의 차용·복제·혼성모방을 전략적으로 뒤집으면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중성과 아방가르드 신화를 모두 수용하는 관망적 태도를 보여준다. 특히, 포스트모더니즘이 획득한 시간성(temporality), 이른바 “지속된 시간의 경과 속에서 이루어지는 관람객들의 참여와 경험”(Douglas Crimp, 1944-2019), 앞에 철저히 계획된 구성을 선보임으로써 자신의 구상미술을 팝과 개념미술, 포토리얼리즘과 미니멀리즘을 종합한 ‘복합콜라주의 다중변주’로 재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작가는 “미술은 표현이 아니라 탐구이고, 우리시대의 아이콘(영웅)이나 신화를 발굴해냄으로써 이미지가 제작되는 총체적 모험”이라고 언급한다. 이질적인 이미지의 절충 속에서 작가가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은 회화의 본질을 철저하게 지켜나가되, 이 시대가 탑재한 다양한 시각언어들을 종합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렇듯 “충분한 정보를 알려주되 보는 이로 하여금 자세히 바라보게 만들고, 현대의 무비판적 수용에 대해 스스로 성찰해보도록 만드는 세련된 화화언어”, “대상이나 사건, 심지어 영웅들까지도 소비 가능한 이미지들로 매혹시키는 동시대 회화의 새로운 아카데미즘” 이것이 정영한 작가가 추구해온 21세기의 회화미학이 아닐까.

    전시제목정영한: 이미지-時代의 斷想 / Image-Fragment of the time

    전시기간2020.07.30(목) - 2020.08.09(일)

    참여작가 정영한

    관람시간10:00am - 06:00pm
    2020년 7월 30일 오픈 당일에는 오후 5시부터 7시까지만 관람 가능합니다.

    휴관일매주 월요일

    장르회화

    관람료무료

    장소금호미술관 Kumho Museum (서울 종로구 삼청로 18 (사간동, 금호미술관) 2층)

    연락처02-720-5114

  • Artists in This Show

금호미술관(Kumho Museum) Shows on Mu:umView All

  • 작품 썸네일

    노정하: 사랑 죽음 그리고 노스탤지어

    금호미술관

    2024.11.07 ~ 2024.11.17

  • 작품 썸네일

    강원도감 : 발 아래 피어난 시간의 단면

    금호미술관

    2024.11.07 ~ 2024.11.17

  • 작품 썸네일

    이나경: 풍경. 바람, 그 너머

    금호미술관

    2024.06.27 ~ 2024.07.07

  • 작품 썸네일

    마주한 세계: 풍경의 안팎

    금호미술관

    2023.11.24 ~ 2024.02.18

Current Shows

  • 작품 썸네일

    송영규: I am nowhere

    갤러리 그림손

    2024.10.30 ~ 2024.11.25

  • 작품 썸네일

    김지혜 : SOMEWHERE 어디에나 있는, 어디에도 없는

    갤러리 도스

    2024.11.20 ~ 2024.11.26

  • 작품 썸네일

    Rolling Eyes: Proposals for Media Façade 눈 홉뜨기: 미디어 파사드를 위한 제안들

    대안공간 루프

    2024.11.13 ~ 2024.11.26

  • 작품 썸네일

    선과 색의 시선 Perspective of Lines and Colors

    필갤러리

    2024.10.10 ~ 2024.11.27

  • 작품 썸네일

    제15회 畵歌 《플롯: 풀과 벌의 이야기 Plot: The Story of Wild Grasses and Bees》

    한원미술관

    2024.08.29 ~ 2024.11.29

  • 작품 썸네일

    오종 개인전 《white》

    페리지갤러리

    2024.10.11 ~ 2024.11.30

  • 작품 썸네일

    여세동보 與世同寶: 세상 함께 보배 삼아

    간송미술관

    2024.09.03 ~ 2024.12.01

  • 작품 썸네일

    2024 광주비엔날레 기념특별전 《시천여민 侍天與民》

    광주시립미술관

    2024.09.06 ~ 2024.12.01